고려동유적지의 자미화(紫薇花)
함안 산인 고려동유적지의 자미화(紫薇花)
함안 고려동 유적지(咸安 高麗洞 遺蹟址)는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적지이다.
고려 말 성균관 진사 이오(李午)가 고려가 망하자 고려왕조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 위하여 담장을 쌓고 살았던 곳이다. 새 왕조가 들어서자 이오는 여러 현인들과 송도의 두문동으로 들어가 산간벽지의 띠[茅]만 우거진 숲속에 백일홍이 만발한 곳을 살 곳으로 정하였다.
1982년 8월 2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56호 고려동유적지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성균관진사 이오는 끝까지 고려의 유민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은거지 주위에 담을 쌓고, 담 밖은 새 왕조의 땅이라 해도 담 안은 고려 유민의 거주지라는 것을 명시하는 고려동학(高麗洞壑)이라는 비석을 세웠다. 이후 이곳에서 고려 유민들이 우물을 파고 논밭을 만드는 등 터전을 일구어 자급자족하였다 하여 고려동(高麗洞) 또는 장내동(牆內洞)이라 불렸다.

선생은 세상을 떠날 때까지 조선 왕조에서 벼슬을 하지 않았고, 아들에게도 새 왕조에서 벼슬하지 말 것과 신주를 다른 곳으로 옮기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그리고 담 안에 주거와 우물 전담 등을 마련함으로써 후손들이 자급자족할 수 있는 터를 닦았다. 이후 선생의 유지를 받들어 후손들은 600년이 넘게 이곳에서 살아왔고 고려동이라는 이름도 전하고 있다.

이곳은 자미단이라 하며 고려동유적지의 보호수인 배롱나무가 있는 자미단입니다.
고려동 유적지의 배롱나무는 연륜에 비해 잘 발달된 수관과 아름다운 수형으로 보호수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나무는 자미나무라고도 불리며, 이 나무에서 피는 자미화는 고려 말기 이오 선생의 충절을 상징하는 꽃으로 전해져 내려옵니다.

현재 이 마을에는 재령 이 씨 후손 30여 호가 모여 살면서 선조의 뜻을 기리고 있다. 마을 안에는 고려동학표비, 고려동담장, 고려종택, 자미단, 고려전 3,000여 평, 자미정, 율간정, 복정 등이 있었으나, 이들 건물은 한국전쟁 동안에 대부분 소실되었으나, 이후 복원되었다. 호상공의 생가로 알려진 주택만이 제 모습을 지키고 있으나, 그마저 200여 년 전의 것이라고 한다.」

배롱나무는 흔히 백일홍(百日紅)이라고도 부르는데, 7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가을에 모두 지는 때까지 100여 일 걸린다 하여 백일홍이라 한다. 낙엽 활엽 소교목 부처꽃과로 줄기는 구불구불하고 매끄럽고, 가지 끝이 부챗살처럼 퍼지는데, 대개 ‘V’ 자(字) 형으로 자라는데, 꽃말은 “떠난 친구를 그리워함”이란다. 같은 이름의 초본성 백일홍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이곳 고려동 유적지의 배롱나무는 많은 사진인들이 찾는 명소이기도 하며, 매년 이때쯤 찾아가는 한 곳이기도 합니다. 배롱나무는 본래 당나라 때부터 관청의 뜰에 심어두고 보기를 좋아했다고 하며, 배롱나무를 자미화(紫薇花)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2024/ 7/ 27일 오후 함안 산인면에 위치한 고려동유적지를 방문하여 아름다운 배롱나무 꽃을 감상했습니다.
이곳은 매년 자주 찾는 곳이므로, 오늘은 간단히 몇 장의 사진만을 촬영했습니다.
함안 고려동유적지
고려 유민의 충절이 깃든 함안 고려동 유적지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에 있는 조선시대 고려 유민들의 마을. 시도기념물. 1982년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된 곳이다. 이 곳은 고려 말 성균관(
cheongyeo.tistory.com
함안 고려동 유적지 자미화
함안 산인 고려동 유적지 자미화 (배롱나무꽃) 고려 말에 성균관의 진사였던 이오 선생은 고려가 망하고 조선 왕조가 들어서자 고려의 유민으로 절의를 지키기로 결심하고 백일홍이 만발한
cheongyeo.tistory.com
'경상남도 > 함안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안 입곡군립공원 단풍명소 (73) | 2024.11.29 |
---|---|
함안 악양 생태공원의 가을 (11) | 2024.10.18 |
함안 무산사 베롱나무 붉은 꽃 (84) | 2024.07.27 |
함안 아라연꽃 우중촬영 02 (54) | 2024.07.20 |
함안 연꽃테마파크 우중촬영 (90) | 2024.07.16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함안 입곡군립공원 단풍명소
함안 입곡군립공원 단풍명소
2024.11.29함안 입곡군립공원 단풍터널 숲 길 경남 남해안의 단풍은 이제부터 절정입니다.웃 지방에는 폭설이 내려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는데그 난리 속에 단풍 여행이라니 조금 멋쩍은 일인가 생각이 듭니다.이것은 나만의 탓이 아닌 것 같고,이상 기후에다 지각 단풍이니 어긋난 단풍여행은 아닌 듯합니다. 밀양 부북면 위양지 물안개나 피는지 가을 단풍이 멋지지나 않은지 싶어새벽잠 설치고 달려 보았으나 윗 지방의 눈바람이 불어오는 탓인지물안개도 파리약 수준에다 단풍잎도 다 떨어지고 없어서 빈 보따리 출사였답니다. 허탈한 마음을 안고 창녕 우포늪을 거쳐 귀가하는 길에 함안 입곡군립공원으로 기수를 돌려서 도착, 단풍나무 터널 숲길로 탐방 산책입니다. 생각대로 이곳의 단풍은 절정으로 너무도 아름다워반 기분이라도 풀… -
함안 악양 생태공원의 가을
함안 악양 생태공원의 가을
2024.10.18함안 악양생태공원의 명품 소나무와 일몰 양산 황선공원에서 촬영을 마치고 부산 대저생태공원을 잠깐 디다보고함안 생태공원 오늘의 마지막 출사 예정지입니다.전번에 한번 왔었는데 핑크뮬리도 덜 익었었고 코스모스도 올 여름의 이상기온 폭염에 삶겨서 엉망이였는데 왜 또왔는지는 내자신도 모를 일입니다. 몇 차례 비가내리고 그나마 기온이 아침 저녁으로 서늘하여 가을로 접어더니핑크뮬리도 코스모스도 생기를 머금고 제법 물이들고 강둑의 코스모스도 예쁘게 피기 시작하였습니다. 골드뮬리도 아름답게 물들었습니다. 골드뮬리속에 수크령 한 포기가 자리했습니다. 위쪽의 강뚝에 올라가 봅니다. 지난번 왔을적에는 폭염에 삶겨 시들어 있었는데 그새 새순이 올라와 아름답게 또 꽃을 피웠습니다… -
함안 무산사 베롱나무 붉은 꽃
함안 무산사 베롱나무 붉은 꽃
2024.07.27함안 칠서 무산사 베롱나무 꽃을 찾아서 역사의 흔적을 따라 여행하면 종종 다른 여행이나행위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묘미를 갖곤한다.상고의 암각화를 찾아가는 길이나 조선의 향교 또는서원을 방문할 때라면 계흭하고 준비한 후 가는길이 비록 잠을 서쳤다고 할지라도 잔잔한 매력적 흥분으로그 어떤 피로감도 느끼지 못한다. 그럴 무렵, 풍기가 평소 존망하던 대선배 안향의 고향임을 알고, 그를 모시는 문묘를 짓고 학당을 세우니 이가 조선 최초의 사립 중등교육 기관인 ‘백운동서원’이다. 백운동서원은 향후, 명조의 사액을 받아 ‘소수서원’으로 부른다. 합천에서 태어나 함안군 칠원읍 무릉리에서 성장한 주세붕의 본가에는 지금 ‘무산사’가 있다. 후대인들이 선생을 기려 사후에 세운 ‘무산서당’이 그곳이다 … -
함안 아라연꽃 우중촬영 02
함안 아라연꽃 우중촬영 02
2024.07.20함안 연꽃테마파크 아라연꽃 우중촬영 (02) 아라연꽃 우중촬영 1부에 이여 2부입니다오늘 이 연꽃들은 재미있는 설명들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무리한 설명이 있더래도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세찬비가 오면 어떻게 하나 생각했는데다행히 많은 비가 오지 않고 소강상태에 들어가네요. 온 힘을 다래 피웠는데 이름 아침부터 비가 내려꽃잎 펼쳐있기가 무척힘이 듭니다. 비가 오길래 못이기는 척 살짝 오므리고 있는데 귀신같은 사진가들이 그걸 모를 일이 있겠습니까? 힘이든 모양이지요.이제 비도 그쳤는데 못이기는 척 꽃잎을 펼쳐 보시지요.물방울은 떨어트리지 말고 그대로 달고 있으면 좋겠습니다. 나는 이제 사알짝 펼쳐 보입니다.고개만 들면 되겠는데 아이고 무거워…. 가람백련도 우아한 …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