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아라연꽃 우중촬영 02
함안 연꽃테마파크 아라연꽃 우중촬영 (02)
아라연꽃 우중촬영 1부에 이여 2부입니다
오늘 이 연꽃들은 재미있는 설명들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무리한 설명이 있더래도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세찬비가 오면 어떻게 하나 생각했는데
다행히 많은 비가 오지 않고 소강상태에 들어가네요.

온 힘을 다래 피웠는데 이름 아침부터 비가 내려
꽃잎 펼쳐있기가 무척힘이 듭니다.

비가 오길래 못이기는 척 살짝 오므리고 있는데
귀신같은 사진가들이 그걸 모를 일이 있겠습니까?

힘이든 모양이지요.
이제 비도 그쳤는데 못이기는 척 꽃잎을 펼쳐 보시지요.
물방울은 떨어트리지 말고 그대로 달고 있으면 좋겠습니다.

나는 이제 사알짝 펼쳐 보입니다.
고개만 들면 되겠는데 아이고 무거워...

가람백련도 우아한 자태 헝클어지려나 두려워
역시나 비 맞기 싫은 모양입니다.

비가 계속 내려야 꽃잎을 타고 쪼르록 내릴건데 비가 그치니 물방울만 맺혀있네요.
이 아이는 지난밤 욕을 많이 본 모양인지
아직 진땀을 흘리는 것인지? 딱 반쯤 벗은 상태이군요.

역시나 명품家 연은 비를 맞아도
별다른 흐트러짐이 없습니다.
고운 자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듯하네요.

다연발 포를 지닌 보디 가이드를 대동했습니다.
아무나 눈 찔금했다가는 큰일 나죠.

법수연도 우중에는 마찬가지입니다.
손각대로 눌렀더니 맛이 살짝 간듯합니다.
언샾마스크를 두어 번 눌러 씌워도 나무바가지 쇠바가지가 되지 않습니다.

썩어도 준치라더니
쭉 늘어져 있어도 역시나 명품家 아라연꽃입니다.

연꽃테마파크의 명품연꽃들입니다.
아라연꽃과 법수연꽃입니다.

꽃잎이 약간 둥글어 보이지요.
이 연꽃이 법수연꽃입니다. 나무 키가 작아 표가 납니다.

아라연꽃인데 카메라의 설정에 따라
온도 색상에 따라 변색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벌거벗는 아라연 부끄럽지도 않냐?
속살이 찐하게 숙성 된걸 보니 생의 마지막 발악인 것 같습니다.

둘이서 손잡고 어디 연잎 숲 속으로 자꾸만 들어가니?
무슨 일이 있긴 있는데....

비도 오는데 심심한데 연잎 뒤로 숨는 것을 보니
암만해도 합방하려나 보다!

정감이 가는 사진입니다.
연인과 함께하는 행운은 없지만 사진을 담아 연꽃테마파크를
나서는 발걸음은 가벼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실적인 설명들은 아닙니다.
그냥 웃고 넘기시고 재미로 봐주셔유 ㅠ ㅠ
'경상남도 > 함안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동유적지의 자미화(紫薇花) (87) | 2024.07.28 |
---|---|
함안 무산사 베롱나무 붉은 꽃 (84) | 2024.07.27 |
함안 연꽃테마파크 우중촬영 (90) | 2024.07.16 |
함안 연꽃테마파크 연꽃 [2024] (60) | 2024.07.01 |
함안 연꽃테마파크 아라연꽃 (13) | 2024.06.30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고려동유적지의 자미화(紫薇花)
고려동유적지의 자미화(紫薇花)
2024.07.28함안 산인 고려동유적지의 자미화(紫薇花) 함안 고려동 유적지(咸安 高麗洞 遺蹟址)는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적지이다. 고려 말 성균관 진사 이오(李午)가 고려가 망하자 고려왕조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 위하여 담장을 쌓고 살았던 곳이다. 새 왕조가 들어서자 이오는 여러 현인들과 송도의 두문동으로 들어가 산간벽지의 띠[茅]만 우거진 숲속에 백일홍이 만발한 곳을 살 곳으로 정하였다. 1982년 8월 2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56호 고려동유적지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성균관진사 이오는 끝까지 고려의 유민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은거지 주위에 담을 쌓고, 담 밖은 새 왕조의 땅이라 해도 담 안은 고려 유민의 거주지라는 것을 명시하는 고려동… -
함안 무산사 베롱나무 붉은 꽃
함안 무산사 베롱나무 붉은 꽃
2024.07.27함안 칠서 무산사 베롱나무 꽃을 찾아서 역사의 흔적을 따라 여행하면 종종 다른 여행이나행위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묘미를 갖곤한다.상고의 암각화를 찾아가는 길이나 조선의 향교 또는서원을 방문할 때라면 계흭하고 준비한 후 가는길이 비록 잠을 서쳤다고 할지라도 잔잔한 매력적 흥분으로그 어떤 피로감도 느끼지 못한다. 그럴 무렵, 풍기가 평소 존망하던 대선배 안향의 고향임을 알고, 그를 모시는 문묘를 짓고 학당을 세우니 이가 조선 최초의 사립 중등교육 기관인 ‘백운동서원’이다. 백운동서원은 향후, 명조의 사액을 받아 ‘소수서원’으로 부른다. 합천에서 태어나 함안군 칠원읍 무릉리에서 성장한 주세붕의 본가에는 지금 ‘무산사’가 있다. 후대인들이 선생을 기려 사후에 세운 ‘무산서당’이 그곳이다 … -
함안 연꽃테마파크 우중촬영
함안 연꽃테마파크 우중촬영
2024.07.16함안 연꽃테마파크 아라연꽃 우중촬영 (01) 아라연꽃 촬영하로 날씨가 좀 좋으면 갈려고 했는데계속되는 장마에 쏟아지고 그쳤다를 반복하는 날씨에 우중촬영이라도 하지 뭐! 하는마음으로 함안 연꽃테마파크로 달렸습니다. 아침에 한줄기 쏟아지더니 막상 도착하니 비가 오지를 않습니다.처음 계흭대로 우중촬영으로 찍어야겠습니다.꽃잎에 물방울이 그대로 있는 꽃이 있은가 하면빗물로 깨끗이 샤워를 하고 깔끔한 차림으로 단장하고 있는 연꽃이 많습니다. 넓은 테마파크엔 만개한 연꽃들이 빼곡하다. 중간중간 만들어 놓은 흔들의자와 정자, 그리고 전망대에 올라 연꽃을 바라본다. 진흙 속에서 자라나 저처럼 아름답고 깨끗한 꽃을 피워내는 연꽃의 정화력(淨化力)을 부처님께서는 사랑하신 걸까. 아름답고 후덕한 모습에 내 마음… -
함안 연꽃테마파크 연꽃 [2024]
함안 연꽃테마파크 연꽃 [2024]
2024.07.01경남 함안 연꽃테마파크 2024 연꽃탐방 지난해 2024년 7월 1일 촬영한 함안 연꽃테마파크의 연꽃입니다. 아라연꽃은 2009년 5월 성산산성에서 발굴된 씨앗으로 발아시킨 연꽃으로 성분결과 약 700년전 고려시대 연꽃 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곳 함안지역이 본래 옛 아라가야가 있던 곳이기 때문에 아라연꽃이라 명명하였으며, 고려시대 불교 탱화에서 볼 수 있는 연꽃의 형태와 색깔을 간직한 채 2009년 7월 7일에 700년 만에 꽃을 다시 피웠다 한다. 함안 연꽃테마파크에는 법수홍련과 아라홍련이 있는데 아라홍련은 흰색에서 꽃잎 끝방향으로 분홍색을 띤다고 하며꽃잎이 날씬하게 길며 은은한 분홍빛이 나는 것 같은 연꽃이랍니다.사찰의 탱화에서 볼 수 있는 연꽃과 닮지 않았나요?이 연꽃이 바로 아라연꽃의 …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