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김천시
728x90
국립 김천치유의숲 자작나무
국립 김천치유의숲 자작나무
2024.11.17김천 수도산 국립김천치유의 숲 자작나무 '24-11-07 김천 수도산 청암사 탐방하고 난 후 수도산 수도계곡을 거슬러 올라 가면서 무흘 8곡과 무흘 9곡의 소공원에 있는출렁다리를 건너 폭포 전망대에서 용추폭포를 관람 촬영하고수도마을 위쪽에 있는 국립김천치유의숲의 자작나무 숲을 탐방하여 본다. 국립김천치유의 숲은 국립 김천시 증산면에 위치한 해발 800m의 수도산 자락에 위치한국립김천치유의 숲은 경관이 아름다운 대가천, 무흘구곡 등의 주변 계곡과 어우러져 있는 곳이다.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의 아름다운 절경을 볼 수 있으며가족 단위뿐만 아니라 심신힐링이 필요한 모든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특히 7ha의 넓은 자작나무숲이 펼쳐져 있으며100년 수령의 잣나무숲이 아름답게 조성되어 ..
김천 수도산 수도계곡의 계류와 가을 풍경
김천 수도산 수도계곡의 계류와 가을 풍경
2024.11.12김천 증산면 수도산 수도계곡과 용추폭포 김천 수도산은 높이 해발 1317m로 가야산맥의 상의 고봉의 하나이다.가야산맥은 소백산맥의 대덕산에서동쪽으로 벋어나간 한 지맥으로 우두령에 의해서 소백산맥과 분리된 독립산과로 간주할 수 있다.수도산은 이 산맥 중 가장 서쪽에있는 고봉이다. 오늘은 수도산 김천 치유의 숲에서 발원한 계곡을 따라 오르며아름다운 수도계곡(증산계곡) 무흘 9곡 중 8~9곡을 탐방 소개합니다. 수도계곡 무흘9곡 중 제 8곡 와룡암(臥龍巖)입니다.즉 룡이 업드려 있는 듯한 바위의 계곡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시원한 물줄기가 폭포를 이루어아름다움을 더합니다. 논 뙤기만한 넓은 바위가 있고힘차게 흐르는 폭포와 물줄기가 어째보면 용이 업드려 있는 형상 같아 ..
김천 수도산 청암사
김천 수도산 청암사
2024.11.10김천 청암사 이끼폭포 위의 다리공사 중이라 실망 김천 증평면 수도산 청암사의 이끼폭포 촬영차 출사 했는데청암사 이끼폭포는 다리 아래에 있는 폭포라폭포위의 다리공사 중이어서 헛수고만 하였습니다.이여 수도산 계곡, 용추폭포, 김천 치유의숲 자작나무, 등은예정대로 탐방하고 돌아왔습니다. 청암사 이끼폭포는 다리공사 중이여서어쩔 수 없이 공사 중인 다리 위에서 폭포 상부만 찍어 왔습니다.이해를 돕기 위해 2021일 10월 29일 촬영한 사진을 리뷰합니다. 2021-10-29일에 촬영한 사진입니다.가을이 만추에 이르렀는데 그래도이끼가 파랗게 자라고 있었습니다. 상부 계곡 위에서 촬영한 이끼폭포 전경입니다.늘어진 단풍나무 가지의 아름다운 단풍들이 노랗게 물들어 있었는데스산한 가을바람에 흔들여..
청암사 이끼계곡의 가을
청암사 이끼계곡의 가을
2023.10.29김천 청암사 이끼계곡의 가을 풍경 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산 북쪽 아늑한 골짜기에 자리한 청암사. 오래되어 예스러운 풍치나 정취가 그윽한 팔작지붕건물과 폭염을 식힐듯한 계류의 청아한 물소리가 마음에 진정한 평화와 휴식의 느낌을 안겨 주는 사찰이다.청암사 앞쪽을 흐르는 계곡에는 한여름에는 이끼가 탐스럽게 자라아름다운 곳이기도 하며 가을이면 양쪽으로 덮고 있는 단풍나무 가지에 단풍이 물들어 더더욱 아름다운 곳이기도 합니다. 다양한 산책로와 등산로가 있어, 청암사 이끼계곡에서는 자연과 함께 걷기 좋은 곳입니다.가을이라 정암사 앞 이끼계곡에는 이끼는 없어도 그 흔적만은 남아,흐르는 계곡 물과 함께 풍경이 아름다운 곳이기도 합니다. 청암사 이끼계곡은 아름다운 자연경관입니다. 이곳은 가을에는..
김천 청암사 이끼폭포
김천 청암사 이끼폭포
2021.07.29아름다운 이끼 계류를 품은 김천 청암사 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산 북쪽 아늑한 골짜기에 자리한 청암사. 오래되어 예스러운 풍치나 정취가 그윽한 팔작지붕 건물과 폭염을 식힐듯한 계류의 청아한 물소리가 마음에 진정한 평화와 휴식의 느낌을 안겨 주는 사찰이다. 섭씨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8월, 비구니 스님들이 정진하는 고찰 청암사는 지친 몸과 마음에 활력과 자존감을 채워 넣기 좋은 사찰이라 하겠다. 청암사는 해발 450m 중턱에 자리한 절로 계곡을 두고 가람들이 나뉘어 있다. 북쪽에는 법당인 대웅전을 중심으로고승 22명의 진영을 모셨던 진영각, 승가대학으로 쓰이는 육화료 등이 올망졸망 모여 있다.계곡 남쪽에는 고종 9년인 1905년 대운스님이 세운 극락전을 비롯해 관음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