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평문씨 본리 세거지 능소화
대구 남평문씨 본리 세거지 능소화
남평문씨본리세거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세거지로 남평 문씨 일족 집성촌이다.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의 민속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남평문씨인흥세거지(南平文氏仁興世居地) 이곳은 원래 절이 있던 명당 터라 한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저자인 보각국사
(普覺國師) 일연선사(一然禪師)의 건의로 사액(賜額) 개칭(改稱) 된 인흥산(仁興寺)의 절터로 알려진 인흥마을에는 풍치
있는 토담으로 둘러싸인 분지 안에 조선시대 말에 지은 가옥 9채와 재실 2채, 문고 1채 등 총 70여 채의 전통 와가의 부속
건물이 옛 모습의 마을을 간직하고 한울 속에 정연히 자리 잡고 있다. 흙담돌을 따라 걷는 기분이 고즈넉하면서도 여유롭다.

문익점의 18대손 문경호가 터를 닦아 남평 문씨 일족이 모여 살던 곳이다. 조선 후기의 전통가옥 9채와 정자 2채가
있으며 보당고택, 수봉고택, 광거당, 혁채가, 약산가, 인수문고, 남평문화씨 제당이 위치한다.
출사일 : 2022년 6월 25일
출사지 : 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지번) 화원읍 본리리 401-2

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소재 남평 문씨 인흥 세거지의 고택 담장 마다 능소화가 유월 중순부터 할짝 피며
능소화 사진찍기 명소로 널리 알러 져 있다. 그런데 랜드마크인 이곳 포인터에 막상 가보니 우측에 가설물이 설치되어 있어
골목 전체를 담을 수 없게 되어 있네요. 뭐라고 말해야 할지.......?

한국의 전통마을과는 달리 마을 생성 초기부터 도시계획에 의해서 인공적으로 조성된 마을이다.
그래서, 그 골목길과 돌담들에 능소화가 흐트러지게 피면 이 조용한 마을이 더욱 깊은 여름에 접어든다.

능소화는 일명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조선 후기까지 양반꽃이라 하여 사대부나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고 한다. 꽃은 6월 말에서 칠월 중순까지 피며 한때는 꽃의 수술에 비늘 같은 갈고리가 있어 눈에 들어갈
경우 실명을 할 수 있다는 설이 있었으나 과학적인 근거가 없음이 밝혀졌다.

능소화는 일명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조선 후기까지 양반꽃이라 하여 사대부나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고 한다. 꽃은 6월 말에서 칠월 중순까지 피며 한때는 꽃의 수술에 미늘 같은 갈고리가 있어 눈에 들어갈
경우 실명을 할 수 있다는 설이 있었으나 과학적인 근거가 없음이 밝혀졌다.

먼 옛날 중국에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다. 어느 날 우연히 왕의 눈에 띈 그녀는 왕과의 하룻밤을 보내곤 빈의
직첩을 받지만 이후 다른 후궁과 환관의 농간으로 다시는 왕을 만날 수가 없었다.
늘 왕이 보고 싶어 담장을 기웃거리던 그녀는 상사병이 도저 죽음을 맞는다. 유언으로 사후에라도 왕을 보고 싶다며
담장 밑에 묻어주길 원했다. 이듬해 소화가 묻힌 담장 밑에서 파릇한 풀 한 포기가 올라왔으며 옆에 있던 소나무에
의지하여 담장에 이르러 붉은 꽃을 피워내니 사람들은 그녀의 혼이 담긴 꽃이라는 뜻에서 ‘능소화’라 불렀다고 한다.


꽃은 그냥 주황색이라기보다 노란빛이 많이 들어간 붉은빛입니다. 화려하면서도 정갈한 느낌이 든다. 다섯 개의 꽃잎이
얕게 갈라져 있어서 정면에서 보면 작은 나팔꽃 같습니다


마을 뒤 명품 소나무 길을 따라 들어가면 마을 전체의 풍경도 볼 수 있고 한무더기 능소화도 만남니다.
지난 해에는 아주 아름다웠는데 올해는 딱 이 한무더기 뿐입니다.
돌아서 나와 다시 마을 앞 인흥원 연못으로을 가 봅니다.

인흥원 연못에는 연꽃이 탐스럽게 피어 있네요. 이곳 보다 남쪽인 우리 동네도 아직인데 이곳 지역의 연꽃이 빨리 개화를 하네요.

눈이 부시도록 고고한 자태를 뽐내는 홍련이 아름답습니다.

어 ~ ! 벌써 배룡나무도 꽃을 피었네요. 능소화 촬영이 시들해지면 다음은 배룡나무(백일홍) 촬영이 시작 되겠지요.
철따라 피는 꽃 쫒아 다니다 보면 세월이 물흐르듯 지나 버립니다.
오늘은 이만 마무리 합니다. 감사합니다.
'경상북도 > 대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남대학교 해바라기 (29) | 2023.02.04 |
---|---|
대구 옥연지 송해공원 (26) | 2022.09.20 |
비슬산 진달래 산행 (2) (20) | 2022.04.22 |
비슬산 진달래 산행 (1) (14) | 2022.04.21 |
와룡산 연산홍 군락지 (11) | 2021.04.17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영남대학교 해바라기
영남대학교 해바라기
2023.02.04영남대 야생화단지 해바라기 마치 제주도를 옮겨놓은 듯 노란 유채꽃으로 물들었던 영남대 뒷동산이 6월말부터 피기 시작한 해바라기 꽃들로 가득 찬 것이다. ‘클린캠퍼스(Clean Campus)’ 운동을 펼치고 있는 영남대는 자연자원대학 목장 뒤 야산 등 학내 유휴지 2만5천여 평에 야생화단지를 조성해 일반인들에게 개방한 곳이 있었다. 촬영일시 : 2007년 7월 8일 촬영지 : 경북 경산 영남대 야생화 단지 해바라기 영남대는 2007, 4월 유채단지에 이어 여름을 상징하는 해바라기 단지를 조성, 꽃이 가득 피어 학내 구성원 및 이웃주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지는 등 여름 내내 색다른 장관을 연출한 곳이었다. 한편 영남대는 유채꽃이 진 자리에 메밀씨앗 파종을 준비, 8월 말 개교기념을 축하하는 ‘메밀축제’에 맞춰 … -
대구 옥연지 송해공원
대구 옥연지 송해공원
2022.09.20지난 6월 25일 경북 창녕 부곡 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남은 시간 대구로 이동 대구 옥연지 송해공원을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 단체로 동선을 함께하는 곳이라 세부적으로 촬영하지 못하고 대충 본대로 폰으로 촬영이라 이해 바랍니다. 옥연지 송해공원은 달성군 명예군민인 방송인 송해 선생의 이름을 따 명칭한 곳으로, 둘레길 데크, 백년수중다리, 바람개비 쉼터, 전망대, 금동굴, 얼음빙벽 등 다양한 볼거리로 조성되어있다. 공원과 함께 조성된 ‘옥연지 송해공원 둘레길’은 옥연지 일대의 자연을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는 생태탐방로다. 송해공원과 둘레길이 생기면서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만들어졌던 옥연지는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게 되었다. 공원과 함께 조성된 ‘옥연지 송해공원 둘레길’은 옥연지 일대의 자연을 가까이에서… -
비슬산 진달래 산행 (2)
비슬산 진달래 산행 (2)
2022.04.22대구 달성 비슬산 진달래 산행 유서 깊은 사찰과 문화유적들이 곳곳에 산재되어 있는 비슬산 정상에는 백만㎡(30만평)에 달하는 참꽃군락지가 있다. 먹을 것이 여의치 않아 배를 곯던 그 옛날 화려하게 봄을 표현하던 모양새로 마음의 위안을 주고, 봄 간식거리로 허기짐을 해결해주던 진달래는 참꽃이라 하며 새로운 이름을 얻었다. 비슬산 참꽃군락지는 봄이 오면 그 시절 추억과 향수를 가득 담고 피어난다. 비슬산 정상 30만평의 광활한 평원에 펼쳐진 진분홍의 천상화원은 보는 이로 하여금 일상을 벗어나 신선의 세계에 와 있는 듯한 착각마저 하게 만든다. 대견사에서 언덕을 넘어와 이곳 까지 푯말은 보지 못했는데 거리가 약 700m가 넘지않았나 생각이 됩니다. 잠깐 휴식을 취하고 월광봉 아래 천왕봉으로 가는 갈림길에서 좌… -
비슬산 진달래 산행 (1)
비슬산 진달래 산행 (1)
2022.04.21대구 달성 비슬산 진달래 산행 4월 19일 분명 새벽에 나서야 하는데 요즘 게으름이 기본이 되어 오늘도 지각 출발입니다. 비슬산 산림휴양지 아래 전기차 타는 주차장 도착이 오전 10시 이미 많은 사람들이 매표를 하기 위해 엄청나게 줄을 서있습니다. 체면에 꼽사리 끼일 수도 없는일 맨 마지막에 섰습니다. 09:00부터 운행 평일인데 무슨 사람들이 그렇게 많은지…… 순번차는 27번차 셔틀버스, 2시간 30분을 기다린 끝에 겨우 얻어 타고 올라갑니다. 해발 1000m 고지에있는 셔틀버스 하차장에서 300m 거리에 있는 대견사로 갑니다. 해발 1000m 지점에 자리한 그리 크지 않은 사찰입니다. 어떻게 이 높은 고지에 사찰이 들어 섰는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 신라의 제42대 …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