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맞이 명소 진주 매화 숲
봄맞이 명소 진주 매화숲이 돌연 문 닫는 이유는
따스한 봄볕이 향기로운 날 진주 '진주매화숲'을 찾아 나들이를 할까 했습니다.
경남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948-4에 위치한 진주매화숲은 1세대 조경가 노부부가 15년 동안
매화 1만 그루를 심으며 일군 '진주매화숲'이란 곳입니다.
이곳의 1세대 조경가였던 박정열 씨는 지난 2022년에 돌아가셨지만,
아내 배임덕 씨와 가족들이 이곳 매화숲을 계속해서 돌보고 있었는데요.
진주 매화숲은 2023년 봄에도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2023년 3월 12일을 마지막으로 이곳은 문을 닫게 되었는데요.
진주 매화숲에는 “2023년 3월 13일 이후 출입을 엄격히 통제한다고 합니다.
향후 개방 일정은 없으며 진주매화숲의 마지막을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고 하네요.

2024년에는 봄맞이 여행으로 진주 매화숲에 방문할 수 없게 된 것인데요.
이곳을 관리하고 있는 운영자는 더 이상 일반인들에게 개방하지 않는 이유 또한 밝혔습니다.
고 박정열 씨와 아내 배임덕 씨의 가족, 박민철 씨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지만,
특히 관람객들로부터 나무가 많이 훼손되는 등 숲이 상해가고 있어
2023년 3월 12일까지만 운영하고 폐쇄할 것이며 향후 개방 계획은 없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특별한 이름 없이 '진주매화숲'이라 불립니다. 약 5만 제곱미터 넓이에 1만여 그루의 매화나무가 심어져 있습니다.
1세대 조경관리사 박정열, 배덕임 부부가 약 15년을 가꿨습니다. 매화를 특히 사랑하는 노부부가 지난 2008년 버려진
매실농장에서 약 100그루를 옮겨 심은 것이 시작이라 합니다. 박정열 씨는 올해 돌아가셨지만 아내 배덕임 씨와 가족이
계속 매화 숲을 돌보고 있다고 합니다.
입소문이 나기 시작한 지난 2019년부터 매화가 피는 시기에 일반에 공개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하얀 매화보다 전국을 돌고 해외를 오가며 구해온 홍매화가 많다고 합니다.

이곳의 홍매화는 초봄부터 일찍 피는 곳이어서, 지금은 절정이였고 며칠 더 있으면 끝물로 갈 것 같았으며,
매화나무는 수령이 젊어 동양화 같은 아름다운 미를 찾기는 어려웠지만 새봄을 맞아 나들이 하기에는 딱 좋아 보였습니다.

곧게 뻗어 올라가는 일반적인 매화나무와 달리 구름 속을 비상하는 용의 형상처럼 구불구불 자라기에 ‘운룡매’라는 이름의 매화 품종이 있다. 진주에는 ‘매화나무에 오르는 용’ 전설이 있는데 운룡매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싶다. 진주시에서 1983년에 발행한 『내 고장의 전설』에 수록된 이충걸(李忠傑)이란 사람의 이야기다.

이충걸은 재능이 뛰어나 어려서부터 한번 들은 것은 잊어버리지 않았고 읽은 책은 줄줄 외웠지만, 신분이 미천해 출세 기회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진주 방백(方伯)이 잠깐 잠이 들었는데 용 한 마리가 촉석문(矗石門, 진주성의 동쪽 관문) 밖 매화나무에 기어오르는 꿈을 꾸었다. 꿈이 하도 기이해 달려가 보니 이충걸이 매화나무에 몸을 기대 쉬고 있었다. 말을 시켜보니 예사롭지 않아 신분을 양민으로 고쳐주고, 학문에 힘쓰도록 하였더니 급제하여 대사헌, 병조판서가 되었다고 한다.

진주 매화숲은 사유지로 매화꽃 개화 기간이 짧아 매화나무 상업화 하기는 힘들고 기껏해야 20일 남직한 매화 기간 동안
간이음식점 정도 하는 것이 전부일 텐데 그마저도 안 하고 무료 개방 중인 진주매화숲입니다.
그럼 돈도 안 되는 매화 농장은 왜 해?라는 궁금증이 있는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자면 매화나무 열매 매실을 얻기 위한
매화농장일 겁니다.

문헌상 매화에 관한 우리나라 최초 기록은 ‘삼국사기’에서 고구려 대무신왕(大武神王) 24년(41년) 8월에 “매화꽃이 피었다”라는 문구이니 매화의 역사는 2천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가장 오래된 매화나무는 지리산 자락 단속사의 정당매(政堂梅)로 강희안의 조부인 강회백이 심은 것인데 600년의 세월을 전하며 아직도 새하얀 꽃을 피우고 있다. 오랜 역사와 긴 생명력만큼 지조와 절개를 지키며 선비들의 사랑을 받아온 꽃이 매화다.

아주 이른 꽃을 볼 수 있는 납매는 보통 1~2월에 꽃이 피고, 이중 이른 꽃을 피우는 품종은 12월에도 피며, 늦은 꽃을
피우는 품종은 2월에도 꽃을 볼 수 있으며, 꽃은 반투명하고 흐릿한 광택이 있다. 향기로운 노란 꽃은 약간 아래를 향해
핀다. 꽃의 바깥쪽은 옅은 노란색이고 안쪽은 짙은 자주색이다.
'경상남도 > 사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천 청룡사 겹벚꽃 (99) | 2024.04.16 |
---|---|
[사천 벚꽃여행] 선진리성 벚꽃 (59) | 2024.04.05 |
사천 무지개빛해안도로 갯벌과 해넘이 (80) | 2024.02.13 |
사천 무지개도로 포토존 '노을을 품은 달' (77) | 2024.01.15 |
사천 송암 노거수 팽나무 (69) | 2023.11.07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사천 청룡사 겹벚꽃
사천 청룡사 겹벚꽃
2024.04.16경남의 겹벚꽃 핫한 명소 사천 청룡사 겹벚꽃 사천 청룡사 겹벚꽃은 경남 사천시에 위치한 겹ㅈ벚꽃 명소입니다.청룡사는 와룡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사찰로 올라가는길 양쪽으로 풍성하게 피어납니다. 사천 청룡사 겹벚꽃은 사천 8경에서 지난해 '사천 9경’에 선정되었으며, 하루에 2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는 인기 명소입니다. 꽃이 피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주말에는 이곳을 방문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주차장도 혼잡할 수 있으니, 이른 아침에 방문하시는 것을 권해드려요. 사천 청용사 극락 계단은 사진을 찍기 좋은 포토존으로 유명합니다. 내가 찾아갔었던 작년 당시에는 꽃이 절정기를 지나 슬슬 저물어 가는 중이었다.주차장에서 청룡사로 향하는 야트막한 경사로를 따라 겹벚꽃 나무가 늘어서 있는… -
[사천 벚꽃여행] 선진리성 벚꽃
[사천 벚꽃여행] 선진리성 벚꽃
2024.04.05오늘은 흐린 날씨 비는 내리지 않습니다.어제는 거제 벚꽃여행을 다녀왔고 오늘은 사천. 남해 벚꽃여행을 할까 하고조금 이른 시간에 길을 나섰습니다.오늘이 절기상으론 청명. 내일은 한식이네요.다른 해에 비하면 벚꽃여행이 10일 이상 늦은 시기입니다. 사천 선진리성 입구의 도로입니다. 아직 꽃비는 내리지 않고 절정인 벚꽃의 아름다운 길입니다.그런데 작년에도 축제기간에는 입구에서 자동차를 통제하더니 올 해도 통제를 하는군요.직진해서 반대쪽 횟집촌이 있는 마을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선진리성 후문 쪽으로 올라갔습니다.오히려 이쪽이 선진리성 성문이 있는 곳과 이순신 전적비가 있는 곳은 더 가깝습니다. 차는 도로변이나 마을 안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보이는 계단으로 올라오면 됩니다.계단은 가파르긴 하… -
사천 무지개빛해안도로 갯벌과 해넘이
사천 무지개빛해안도로 갯벌과 해넘이
2024.02.13희뿌연 스모그 현상이 짙은 날씨 사천 무지갯빛 해안도로를 한 바퀴 드라이비를 하고 왔습니다. 물때는 간조 시간대라 넓은 갯벌이 펼쳐진 바다는 좋았으나 일몰은 각이 맞지 않고 해넘이는 어느 봄날 처럼 그렇듯이 희뿌연 안개 때문에 아름답지가 않았습니다. 종포마을 쉼터 옆 S자형 갯골도 일몰각이 맞지 않아 갯골에 노을도 물들지 않았답니다. 하동 금오산 좌측으로 해가 넘어가는 때라야 이곳 갯골에 노을빛에 맞아지면 그 아름다움이 끝내줍니다. 종포마을 무지개빛 쉼터에서 바라보는 S자 갯골과 갯벌입니다. 사천 무지개빛 해안도로는 사천시 용현면 금문리에서 사천시 대포동 대포항까지입니다. 시간이 남아도는 것 같아 종포마을에서 대항항까지 갔다가 돌아오다가 중간에 사천시 용현면 금문리 갯벌탐방로에서 해넘이를 만났습니다. 종… -
사천 무지개도로 포토존 '노을을 품은 달'
사천 무지개도로 포토존 '노을을 품은 달'
2024.01.15[경남 사천 가볼 만한 곳] 노을을 품은 달 포토존과 석양 오늘은 고성 하이면 도로를 거쳐 사천 무지개도로 해안 종포길 노을을 품은 달 해변까지 왔습니다. 마침 석양이 물드는 일몰시간이고 바닷물이 빠져나간 간조 시간대라 더 넓은 갯벌이 나타나 있습니다. 노을을 품은 달 조형물 사이로 하동 금오산 옆으로 기우는 태양을 볼 수 있습니다. 사천만 갯벌과 하동 금오산 곁으로 기우는 일몰입니다. 옆으로 나있는 하얀 선은 비행기 궤적이며 초음속 비행기 한대가 지나갔나 봅니다. 알록달록 일곱 빛깔 무지개색으로 젊은이들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사천시 용현면 해안도로. 이 무지갯빛 해안도로를 따라 걷노라면 마음까지 따뜻해지는 노란색의 초승달 포토존을 만나게 된다. 이름하여 노품달이다. 노품달은 노을을 품은 달의 줄임말입니…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