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여행/강원도
728x90
평창 박지산 이끼계곡 탐방
평창 박지산 이끼계곡 탐방
2023.01.23지금은 볼 수 없는 태고의 신비를 가직한 박지산 이끼계곡 2006년 8월 태풍 3호 웨이나아로 강우량 500mm의 호우로 온 산과 들이 쑥대밭으로 만드는 바람에 박지산 이끼계곡도 원초적인 돌부리를 남긴채 온계곡이 살아지고 만 날이었습니다태풍의 직접적이 영향권에 들어간 대한민국에는 태풍과 함께 집중호우가 겹쳐 큰 피해가 발생하였고 정부에서는 피해지역들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였었다. 오대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첩첩협곡을 누비며 정선 조양강에 합류하는 길목,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신기리와 수향리 오대천 동쪽에 큰 품새로 얼기설기 뿌리내린 산이 박지산(1934m)이다. 말복까지 얼음을 볼 수 있는 박지골과 경치가 스라한 아차골 등 박치산 골짜기는등산인의 발길이 뜸하여 오지의 신비함을 간직하고 있었..
선자령 일출과 야경
선자령 일출과 야경
2022.12.10강원 백두대간 선자령에서 맞이한 일출과 야경 강원도를 영동과 영서로 가로지르는 구름도 쉬어 간다는 대관령, 고개 너머 동쪽이 가릉, 서쪽이 평창이다.대관령은 겨울철에 영서지방의 대륙 편서풍과 영동지방의 습기 많은 바닷 바람이 부딪쳐서 우리나라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립니다.대관령의 강릉과 평창의 경계에 있는 선자령은 눈과 바람 그리고 탁 트인 조망이 일품입니다. 선자령은 해발 1,157m로 높지만 대관령 휴계소가 840m로 정산과의 표고차 317m를 긴능선을 통해 산행하게 되므로 일반인들도 쉽게 오를 수 있습니다. 선자령의 백미는 정상에서 바라보는 산들의 파노라마,정상에 올라서면 남쪽으로는 발왕산 서쪽으로는 개방산, 서북쪽으로는 오대산, 북쪽으로는 황병산이 바라다 보이고 , 맑은 날에는 강른 시..
매봉산 고랭지 채소단지
매봉산 고랭지 채소단지
2022.10.22태백 매봉산 고랭지 채소단지 태백 매봉산(해발 1,305m)의 고랭지 체소단지, 지금은 바람의 언덕에 자리 잡은 풍력발전단지로 더 유명하다.매봉산은 태백산맥(太白山脈)의 여맥인 중앙산맥(中央山脈) 중의 한 산으로, 서북쪽에 대덕산(大德山, 1,307m),서남쪽에 함백산(咸白山, 1,573m), 동쪽에 육백산(六百山, 1,244m) 등이 솟아 있다. 매봉산의 북쪽 사면에는 해발고도 1,000m를 넘는 고위평탄면이 넓게 나타나며, 이곳에서는 대규모로 고랭지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위평탄면은 태백산지가 요곡적 융기를 하기 이전에 형성되어 있던 평탄지형이 요곡적 융기를 하는 과정에서 대부분파괴되었지만, 그 평탄지형의 일부가 산정부 또는 능선부에 남아 있는 것이다.북쪽 사면을 흐르는 수계는 남한강의..
금강산 구룡폭포
금강산 구룡폭포
2021.09.04금강산 구룡폭포 2005-06-07 금강산 여행중에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는 폭포로 폭포의 높이는 약 74m, 너비 약 4m 이고, 일명 중향폭포(衆香瀑布)라고도 한다. 온정리 소재지에서 약 30리쯤 되는 신계천의 위쪽 구룡연 구역에 있다. 이 폭포는 설악산의 대승폭포(大勝瀑布), 개성 대흥산성(大興山城)의 박연폭포(朴淵瀑布)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폭포 중 하나이며, 금강산 십이폭포(十二瀑布)·비봉폭포(飛鳳瀑布)·조양폭포(朝陽瀑布)와 함께 금강산 4대 명폭의 하나인데 웅대하고 경치가 뛰어나 가장 으뜸으로 꼽힌다. 이 폭포는 구정봉에서 뻗어내린 구정대의 깎아지른 듯한 바위 벼랑의 두 봉우리 사이에서 폭포벽을 따라 물안개를 이루며 떨어진다. 폭포벽과 그 바닥은 하나의 웅장한 화강암 덩어리로 되..
감자꽃 필 무렵
감자꽃 필 무렵
2021.07.11하늘아래 첫동네 강원 안반데기 감자꽃 필 무렵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4리 안반데기 해발 1,100m 이상의 고랭지 체소밭 전국의 우량 씨감자 70%를 생산하는 곳이기도 하다. 평창군 대관령면과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사이에 놓인 피동령(일명피덕령)이라는 백두대간 고개의 동쪽편 산비탈이 안반데기 마을이다. '안반데기'란 떡메로 반죽을 내리칠 때 쓰는 오목하고 넓은 통나무 받침판을 ‘데기’는 평평한 땅을 말한다. 안반데기마을은 해발 1100m 고산지대로 떡메로 떡을 치는 안반처럼 우묵하면서도 널찍한 지형이 있어 안반데기라고 불리게 되었다 한다. 초여름 산비탈을 수놓은 하얀 감자꽃이 만들어 내는 그림같은 풍경, 강원도 고랭지의 감자밭과 배추밭을 보려면 안반데기에 가야 한다. 안반데기의 감자꽃을 촬영하기 좋은..
강원 박지산 이끼계곡
강원 박지산 이끼계곡
2021.07.04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에서 59번 국도를 따라 정선쪽으로 30분쯤 가다 보면 좌측으로 신기리 간판이 보인다다리를 건너 신기마을 안쪽으로 쭈욱 들어가면 두타산(일명 박지산,1394m)등산로를 접어들게 되는데 이곳 우측의 계곡이 박지골 계곡이다.이곳 박지계곡에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이끼계곡을 '박지산 이끼계곡'이라 하였다2008년 8월 여름 1일 500mm가 넘는 국지성 호우에 휩쓸려 초토화 되어버린 이끼계곡이다, 그러나 지금은 사라진 신비의 이끼계곡이다.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이끼계곡 아쉬운 마음으로 오늘 포스팅하여 본다. 현재는 서서히 회복되고 있지만, 완전한 원상 복구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는 불확실한 상황이다.지금은 가셔도 계곡만 있을뿐 이끼도 없고 계곡주변의 나무도 완전히 뽑혀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