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손곡동 종오정 일원 탐방
경주의 종오정은 조선시대 학자인 최치덕 선생님의 유적지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 85호입니다.
종오정 일원은 조선시대 영조(재위 1724∼1776) 때 학자인 최치덕(1699∼1770)의 유적지이다. 최치덕이 영조 21년(1745)에 돌아가신 부모를 제사 지내려고 일성재를 짓고 머무르자, 그에게 학문을 배우고자 따라온 제자들이 글을 배우고 학문을 닦기 위해 종오정과 귀산서사를 지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종오정 일원이다.

최치덕은 숙종 25년(1699)에 태어나 영조 46년(1770) 72세로 죽기까지 70여명의 제자를 길러냈으며, 학문 연구에 몰두하여 『역대시도통인』, 『심경집』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죽은 지 3년 후에 이러한 업적이 조정에 알려져 호조참판 벼슬에 봉해졌다.

이곳은 종오정을 중심으로 향나무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나무가 아름답게 우거져 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원 유적을 이루고 있다.

이곳은 종오정을 중심으로 향나무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나무가 아름답게 우거져 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원 유적을 이루고 있다.

이곳은 연꽃 명소이면서 배롱나무 명소로도 손꼽히는 곳입니다.

이곳은 연꽃과 배롱나무가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며, 세 채의 한옥과 연당, 수령 300년의 향나무, 소나무가 어우러져 있습니다. 연꽃이 가득한 연당과 개화의 절정을 맞은 배롱꽃이 처음부터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정자에서 보면 연꽃 가득한 연못이 펼쳐지고 오른쪽에는 오래된 측백나무와 못 안으로 길게 누운 배롱나무가 눈에 들어옵니다.

이곳은 연꽃 명소이면서 배롱나무 명소로도 손꼽히는 곳이에요. 연꽃 정원과 배롱나무의 조화로운 풍경과
한옥의 정취가 너무 아름다워 다음에 온다면 이 고택에서 하루 머물고 싶은 마음이 들었습니다.
경주 종오정은 여름에 연꽃과 배롱꽃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멋진 장소 중 하나입니다!
'경상북도 > 경주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화랑의 언덕에서 본 비지리 다랭이논의 가을 (31) | 2024.08.29 |
---|---|
경주 바실라카페 해바라기와 맨드라미 (86) | 2024.08.21 |
경주 황성공원 맥문동 2024 (90) | 2024.08.16 |
천년못에 신라의 전설이 담긴 경주 서출지 배롱나무꽃 (85) | 2024.08.15 |
경주 불국사 공원 겹벚꽃 (92) | 2024.04.1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경주 화랑의 언덕에서 본 비지리 다랭이논의 가을
경주 화랑의 언덕에서 본 비지리 다랭이논의 가을
2024.08.29경주 산내면 화랑의 언덕 명상바위에서 본 비지리 다랭이논의 가을 처서도 지나고 9월이 가까웠는데도 한낮의 폭염은 계속되고, 더군다나 일본 열도를 지나는 태풍 영향으로경상권엔 거센 바람이 불고 천둥 번개를 동반한 많은 비가 온다는 예보입니다.들녘에는 누렇게 익어가는 벼, 벌써 조생종 벼는 타작을 하고 있습니다.조금 있으면 온 들녘이 황금벌판으로 변하는 시기인데 이럴 때 생각나는 곳이 있습니다.경주 산내면 OK그린목장의 화랑의 언덕 명상바위에 올라서면, 경북 경주시 내남면 비지리의 다랭이논황금벌판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21년 10월 4일 촬영한 경주시 내남면 비지리 다랭이논 가을 풍경입니다. 경주 비지리 다랭이논경주 OK그린목장의 명상바위에서 본 비지리 다랭이논 풍경 '21년 10월 4일 경… -
경주 바실라카페 해바라기와 맨드라미
경주 바실라카페 해바라기와 맨드라미
2024.08.212024-08-14 황성공원, 증오정 일원을 둘러 3번째 찾은 바실라카페이다.바실라카페에서 정성을 다해 가꾸어 온 해바라기 명소이다.또 한편에는 빨강, 노랑 맨드라미가 절정을 이루고 있다. 경주 바실라카페 경주 불국사 가기 전 하동 저수지에 위치한 한옥카페,뜨거운 여름 뙤약볕 아래 활짝 핀 해바라기…. 전번에 핀 해바라기가 지고 대기 중이던 해바라기가 다시 핀 곳이다. 바실라카페에서는 차 한잔을 주문해야 해바라기 맨드라미 밭으로 입장이 된다.입장료가 차 한잔이지만 차 마시고 구경도 하고 어디 이만한 관광 명소의 입장료가 어디 있을까? 싶다. 현재 14일 기준으로 해바라기, 맨드라미가 절정이다넓은 해바라기 밭, 맨드라미 밭, 경주의 관광 명소 바실라카페이다. … -
경주 황성공원 맥문동 2024
경주 황성공원 맥문동 2024
2024.08.16올해 경주 황성공원 맥문동은 군락지 조성은 포기했음인지 관리 부족으로 다랭이논만한 한 두 곳 뿐….그것도 잡초와 같이 우거져 있는 군락지입니다. 여명이 시작되기 직전 촬영입니다. 다른 해에는 가로등은 켜저 있었는데 올해는 깜깜이 입니다.또한 기대했던 안개도 작항 상태도 최악이었다.일행들이 우뚝 우뚝 서있는 잡초를 제거한 후에 겨우 촬영하여 얻은 작품이다. 소나무만 있는 군락지에는 아예 꽃대도 올라온 것이 없고 잡나무들과 노송이 썩여 있는 포인트이다. 어정쩡 하고 있는 사이 태양은 산 위에 떠 올라서 다랭이논 만한 맥문동 군락지 위로 비춘다. 황성공원 맥문동단지는 소나무 숲과 어우러져 환상적인 모습을 자아내어,전국의 사진작가들이 아름다운 장면을 영상에 담기 위한 발길이 끊어지질… -
천년못에 신라의 전설이 담긴 경주 서출지 배롱나무꽃
천년못에 신라의 전설이 담긴 경주 서출지 배롱나무꽃
2024.08.15경주 천년 연못에 신라의 전설이 서린 서출지의 배롱나무꽃 경주 서출지(慶州 書出池)는 경주시 남산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연못이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138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 소지왕 때, 이 못 근처에서 왕비의 비행(非行)을 알리는 글발이 전해졌다는 고사가 있다. 1964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138호 서출지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경주 서출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남산 마을 한가운데에 삼층석탑 두 기가 있고 동쪽에 아담한 연못이 있는데다음과 같은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신라 488년에 소지왕이 남산 기슭에 있던 ‘천천정’이라는 정자로 행차하였을 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쫓아 가보라’ 하니 괴이하게 여겨 신하를 시켜 따라가보게 하였다. 신하는 …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