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 육신사
사육신의 충절을 모신곳 대구 달성 육신사
사육신(박 팽년, 하 위지, 성 삼문, 유 응부, 이 개, 유 성원)등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으로 처음에는 박팽년만 후손에 의해 배향되다가 선생의 현손인 계창공이 선생의 기일에 여섯 어른이 사당 문 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후 나머지 5인의 향사도 함께 지내게 되었다고 합니다.

고종 3년(1866)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낙빈 서원과 함께 훼철되었으나, 1924년 낙빈 서원이 재건되면서 다시 사육신을 봉안하게 되었고, 1974년, 75년 충효 위인 유적정비사업에 따라 정면 5간 다포식 겹처마 팔작지붕의 육신사를 건립하게 되었는데. 1981년 외삼문, 삼충각, 충절당 관리사, 담장을 갖추었다고 합니다.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사육신(死六臣)의 한 분이신 취금헌 박팽년(醉琴軒 朴彭年)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순천 박 씨의 집성촌이고, 구 한말까지는 300여 호의 집이 꽉 들어차 있었으며 해방 전까지만 해도 100여 호가 있었다는데 지금은 30여 호만 남아 있다고 합니다.

솟을대문 성인문 있는 안이 사육신 봉안한 육신사인 듯합니다.
대문이 닫혀있어 내부는 통제되어 있습니다.

사당 앞에는 1979년에 육신사사적비 건립위원회에서 세운 육각비(六角碑)가 서 있고,
각면마다 사육신의 행적을 기록한 비명(碑銘)이 새겨져 있습니다.

육신사 정원 앞 고목의 배롱나무는
흐트러지게 꽃이 피어 아름다운 풍경이네요.

오늘의 육신사 방문은 배롱나무 꽃이 주목적이었으므로
배롱나무 와 풍경으로 대체합니다.

정문을 들어서면 촤측에 연지가 있는데 연꽃이 피었으면 좋았을텐데
핀 연꽃이 없으니 조금 아쉽습니다.

이곳에 특이하게 보라색 배롱꽃이 있습니다.
근년에 심은 나무이겠지만 나무가 나이가 들면 볼만하겠습니다.

국회의장 박준구 생가터란 자그마한 입석이 있는 언덕에서 촬영한 풍경입니다.
육신사 전체터를 4번의 국회의장으로 있던 박준구 님이 기증한 땅으로 보입니다.

육신사 한옥마을입니다.
마을 입구를 나오다가 아차 싶어서... 한옥 골몰 안 한옥 풍경입니다.

입구쪽에 있는 카페 묘운(妙雲) 과 사육신기념관이 있는 푸릇한 넓은 잔디밭입니다.
사육신 충절을 모신 육신사
사육신의 충절이 잠들어 있는 곳, 대구 달성 육신사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리 진입을 합니다. 매년 하목정,가실성당은 와보지만 이곳은 처음으로 가보는 곳입니다.어떤 눈으로 보았기에 육신사
cheongyeo.tistory.com
'경상북도 > 대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달성 도동서원 은행나무 (44) | 2024.11.24 |
---|---|
달성 하목정 배롱나무 명소 (95) | 2024.08.05 |
대구 신숭겸 장군 유적지 2024 (72) | 2024.07.25 |
남평문씨 인흥세거지 능소화 (2023) (43) | 2024.06.23 |
대구 달성 비슬산 진달래 산행 (76) | 2024.04.1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대구 달성 도동서원 은행나무
대구 달성 도동서원 은행나무
2024.11.24대구 달성 도동서원 수령 400년의 은행나무 뜨거운 여름 탓에 늦게 물던 단풍이 한창이다.곳곳에 은행나무도 물들었다.도동서원의 은행나무는 가을이 늦었는데다 떨어져 버린것은 아닐까? 궁금증이 앞선다.2019년에 한 번 가본적이 있는 도동서원의 은행나무그 때도 늦게 찾아가 좋은 상태는 아니었다. 서원터널을 지나 바로 보이는 은행나무노랗게 물든 은행나무가 보인다.그런데 잎이 너무많이 떨어져 앙상한 가지만 있는것이 보인다.아하 ! 이거 올해도 조금 늦게 찾았는것 같다. 김굉필 나무라고도 불리며 수령이 400년이 넘는 이 은행나무는 한원당의 외증손 한강 정구 선생이 심었다고 전해진다.옆으로 여러개의 가지를 한껏 뻗어우람하고 위험에 찬 모습이 가히 장관이다. 다행히 은행잎이 다 떨어진… -
달성 하목정 배롱나무 명소
달성 하목정 배롱나무 명소
2024.08.05배롱나무 명소 대구 달성 하목정 달성 하목정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정자 건축물입니다.이 정자는 낙포 이종문이 1604년에 세운 것으로 원래는 주택의 사랑채였으나 안채가 없으진 후 정자로 사용 되었습니다.이름인 하목정은 조선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이곳에서 잠시 머물렀던 인조가훗날 낙포의 첫째 아들인 이지영에게 직접 지어준 이름이라고 합니다. 이 정자는 김명석, 남용인 등 많은 유명인들이 쓴시와 액자로 장식 되어 있습니다.또한 당나라 왕발이 지은 등왕각기 (騰王閣記) 序에 "지는 노을은 외로운 따오기와 가지런히 날아 가고가을은 먼 하늘색과 한빛이네" 라고 쓴 데서 따왔다고 합니다. 하목정은 조선 중기에 건립된 평면형태가 독특한 丁자형의 정자형 별당 건축으로,공… -
대구 신숭겸 장군 유적지 2024
대구 신숭겸 장군 유적지 2024
2024.07.25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고려 전기 무신 신숭겸을 기리는 유적지 신숭겸장군의 유적 [현지 안내문]고려 개국 공신인 신숭경을 기리는 유적이다.신숭경은 평산이 씨의 시조로서, 918년 배현경, 홍유, 등과 함께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이바지한 인물이다.공은 그 뒤 대장군이 되어 927년에 신라를 침공한 후백제 견훤이군사를 물리치기 위해 왕건과 함께 출전하였다.왕건이 이곳 공산 싸움에서 후백제군에 포위되어 위기에 빠지자자신이 왕건을 가장하여 맞서다가 전사하였으며왕건은 그 틈을 이용하여 탈출하였다고 한다. 왕건은 장군의 죽음을 애통이 여겨 그의 시신을 거두어지금의 춘천인 광해주에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렀다.그리고 신숭겸이 전사한 이곳에 순절단과 지묘사를 세워그의 명복을 빌게 하고, 토… -
남평문씨 인흥세거지 능소화 (2023)
남평문씨 인흥세거지 능소화 (2023)
2024.06.23대구 화원 남평문씨 인흥세거지 능소화(2023) 남평문씨 본리 세거지 능소화라고 하면 대구에서는 첫번 째 전국에서도 손꼽을 정도로 아름답고 예쁜 곳이지요.이 곳의 능소화는 오랫동안 가꾸고 다듬어 온 정성이 가득한 능소화로 토석잠이 있는 골목과 고택의 조하가 잘 어울러서 사진 찍는 뿐만 아니라 일반 관객들도 많이 찾는 곳이지요. 흙으로 된 토담안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전통가옥들,님평문씨 본리 인흥 세거지는 봄에는 홍매화로 유명하지만 또한 더위가 시작되는 초여름에는 능소화의 유명 명소입니다' 이렇게 풍성하게 능소화가 필 시기를 만나기가 그리 쉬운일은 아닙니다.이런 멋진 분위기를 만나면 행운이라 해야 맞는 말이겠지요. 다른 골목의 능소화 입니다.이곳도 풍성하고 아름답게 피었네…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