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남강유등축제 (1)
진주 남강유등축제 주경
산청 한방약초축제장에서 진주 남강유등축제장으로 동선을 옮겨 진주성 동북문으로 진입을 합니다.
행사기간 동안에는 관람료가 무료라고 그냥 들어가라고 합니다. 별거 아니지만 고맙군요.
유등에 불이 점화될 때까지는 많은 시간이 남아 촉석루 방면으로 해서
배다리를 건너 남강 변으로 한 바퀴 돌아보기로 하였습니다.

진주성 정문인동북문입니다.
동북문을 지나면 바로 김시민 동상이 있고
경사면에는 유등들이 나열해 있습니다.

진주성 정문인 공북문으로 들어서면 햇살이 쏟아집니다.
햇살 드는 자리 곳곳에는 오가는 사람들의 숨결이 머물러 있습니다.
저만치에서 동아시아 국제전쟁인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1차 전투를 승리로 이끈 충무공 김시민 장군 동상이 우리를 반깁니다.
동상을 지나면 옛 경남도청 정문이기도 했던
영남포정사로 올라가는 야트막한 언덕으로 크고 작은
조형물로 만든 등(燈)들이 눈길을 끕니다.

충무공 김시민 장군님의 동상입니다.
김시민(金時敏, 155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구) 안동, 자는 면오(勉吾),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고려 때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의 13대손이자
지평(持平) 김충갑(金忠甲)의 셋째 아들이다.

한 번 대패한 일본군은 진주성을 빼앗으려고 다시 계획을 세웠다.
1592년 일본의 2만 대군이 진주성(晋州城)으로 습격했는데,
1부대는 마재를 넘어오고 2부대는 불 천을 넘어 들어오고,
3부대는 진양을 무찌르고 들어왔다.
그런 다음 성을 둘러싸고 포위 공격을 감행하자
김시민은 고을 안에 사는 백성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전부 성으로 들어오게 한 후, 여자는 모두 남장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이렇게 조직된 4,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성을 철통같이 지키며
7일간의 격전 끝에 일본군을 퇴각시켰다.
조선군의 위대한 승리였다.
그러나 1592년 마지막 날의 전투를 끝낸 후 전장을 둘러보던 김시민은
시체 속에 숨어 있었던 한 왜군의 총에 왼쪽 이마를 맞고 쓰러졌고
조용히 눈을 감는다. 그의 나이 향년 38세였다.


예전에 없던 중영이란 건물이 새로 지어졌네요.

치열한 전장이라도 먹어야 살지....

치열한 전장 왜적들의 공격입니다.



야! 이놈 왜놈들아 죽거든 꽥 소리나 하고 죽어라.

진주대첩을 형상화한 유등들입니다.
얼마나 치열한 전장이었으면 얼마나 많은 진주군들이 희생당하였을까?
7일간의 전투에서 승리를 하였지만 결국 일 년 후 패배를 하고
희생자들이 몇 만 명이나 되었다고 하니 가슴 아픈 일이지요.

진주 남강에 등(燈)을 띄우는 유등(流燈) 행사는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대첩(晉州大捷)에 기원을 두고 있다.
임진년(1592) 10월,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을 비롯한 3,800여명의 수성군(守城軍)과
진주성을 침공한 2만여 명의 왜군이 벌인 제1차 진주성전투는 6일간 이어졌다.
치열한 공방이 오가는 가운데 진주성 수성군이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
남강에 유등(流燈)을 띄워, 남강을 건너려는 왜군을 저지하는 군사전술로,
한편으로는 성 밖의 가족들에게 안부를 전하는 통신수단으로 사용했다.

남강의 유등입니다.
남강의 유등은 예전보다는 못하다는 느낌은 있으나
진주성안의 유등은 엄청나게 확대했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진주교와 배다리가 있는 부근 주경입니다.

쌍충각입니다. 매년 다니는 길이지만 쌍축각에 들어가 보기는 처음이네요.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위해 싸우다 전사한 제말장군과
그의 조카인 제홍록의 충의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제말(?∼1592)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웅천 ·김해 ·의령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공을 세웠고,
성주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제홍록은 숙부와 더불어 전공을 세웠으며,
이순신 휘하에 있다가 정유재란 때 전사하였다.
비의 형태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올리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거북받침은 등부분에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튀어나온 눈을 강조하여 토속적인 느낌이 든다.
머릿돌에는 서로 엉킨 두 마리의 용이 머리를 맞대고
여의주를 물고 있는 모습이 생동감 있게 조각되어 있다.
그 밑면에는 국화무늬를 장식하여 마무리하고 있다.
비문에는 제말장군과 제홍록의 공적을 적어 놓았다.
정조 16년(1792) 이조판서 서유린에게 글을 짓게 하여 비를 세웠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관헌에 의해 비각이 헐리어 방치되었다가
1961년 지금의 자리로 옮기고 비각도 새로 지었다.

진주성의 관문 진주성 촉석문입니다.

배다리를 건너 남강변으로 동선을 옮겨 봅니다.
편도 2,000원인데 노령우대 1,000만 주면 건널 수 있네요.

강 건너 촉석루와 촉석문입니다.




소망등 터널입니다.
소망등 터널 안에는 자전거 길도 있어 자전거를 타고 다닐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주경만 보여드렸고 2편에서는 야경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축제,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3회 마산국화축제 행사정보 (37) | 2023.10.30 |
---|---|
진주 남강유등축제(2) (19) | 2023.10.16 |
고성 남산공원 꽃무릇 축제 (46) | 2023.09.29 |
사천 수영공원 꽃무릇과 사천문화재 야행 (51) | 2023.09.21 |
거제 둔덕 포도축제와 백일홍 (46) | 2023.09.11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제23회 마산국화축제 행사정보
제23회 마산국화축제 행사정보
2023.10.302023년 마산국화축제가 2023, 10, 28 ~ 2023, 11, 6 10일간 마산해양누리공원에서 개최된다 창원은 (옛 마산)은 우리나라 최초로 상업제배를 시작해 온화한 기후와 뛰어난 기술력으로 전국 최고 품질의 국화를 생산한다. 2000년부터 이어온 마산 국화축제는 푸른 마산 앞바다 배경으로 화려한 국화 작품을 맘껏 누릴 수 있는 전국 최대 규모의 가을꽃 축제로 매년 개화 기록을 갱신하는 다륜대낙 "천향여심"은 기네스 북에도 오른 놓칠 수 없는 축제의 상징이다. 밤 바다를 수놓은 불꽃쇼와 문화예술공연, 국화체험행사, 등 다채로운 즐길거리가 기다리고 있으며 창원 대표 음식 거리인 마산어시장, 아귀찜 거리와 장어구이 거리에서 식도락까지 함께 즐긴다면 완벽한 오감만족 여행이 될것이다. 22회 마산국화축제… -
진주 남강유등축제(2)
진주 남강유등축제(2)
2023.10.16가을밤 빛의 축제 진주 남강 유등축제 진주 남강유등축제 1편 주경에 이어 2편 야경 편을 포스팅합니다. 하루종일 촬영에 야경까지 막일 중노동에 죽을 맛입니다. 꼭 육제적인 중노동 보담 정신적인 노동도 중노동인 것 같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아직 정상적인 컨디션이 아니라서 그런지, 근 이틀 동안 몸살에 시달리다 보니 이건 아니다 싶네요 배다리를 건너 오다 보니 하루해가 뉘엿뉘엿 저물고 있습니다. 흔들리는 다리위에서 그래도 삼각대를 세워놓고 촬영했는데 이건 버려야 할 사진이다 싶었는데…… 배다리를 건너 올라와 촉석루 부근에서 일몰을 찍어 봤습니다. 유등이 점화 되기는 아직 시간이 있어 밴치에 앉아 쉬면서 눈앞의 유등들을 촬영해 봤습니다. 2022 진주 남강유등축제 진주성안 유등 진주남강유등축제 2022 진… -
고성 남산공원 꽃무릇 축제
고성 남산공원 꽃무릇 축제
2023.09.29고성 남산공원 꽃무릇 &제1회 남산꽃무릇 축제 2023년 9월 23일 남산공원에 올라가는 도로변과 주차장에 자동차가 만원이라서여기 무슨 행사가 있느냐고 물었드니 꽃무릇 축제를 한다고 하네요.등잔밑이 어둡다고 먼 거리만 좇아 다니고 코앞의 있는 행사는 있는줄도 모르고있었으니 한심하다고나 할까요…….ㅎ ㅎ ㅎ 남산 팔각정에 올라가니 꽃무릇 축제한다고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알았으면 조금 일찍 올걸…. 그래도 그리 늦지는 않은 모양입니다.시식 코너에서 차한잔 쑥떡 몇 조작 시식하고 행사장에 가까이 가봅니다. 팔각정 앞에 무대를 설치하고 본부석까지 차려져 있습니다.제1회 남산꽃무릇 축제장입니다.꽃무릇 축제의 주체가 '남사모'라고 남산을 사랑하는 모임입니다.남사모 모임이 올해로 17년이라… -
사천 수영공원 꽃무릇과 사천문화재 야행
사천 수영공원 꽃무릇과 사천문화재 야행
2023.09.21‘ 사천문화재 야행’은 사천의 문화재를 활용한 야간 관광 콘텐츠로 올해는 ‘사천읍성 명월을 거닐다’를 주제로 펼쳐지고 있다. 행사는 △야경-소원 배 비치는 읍성 △야로-달빛 읍성로드 △야설-사천문화재 야행악회, 대한민국 농악 축제 △야식-속오군 야참 투어 △야시-속오군 오일장의 5개 분야, 6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아쉽게도 오늘이 마지막 날이라 오늘 ’야설‘에서는 지역 예술인 공연, 퓨전 국악 공연, 국가무형문화재 ’농악‘ 보유 단체의 공연이 펼쳐진다.오늘 축제는 농악경연이 야간 공연이라 사진은 별볼이없어 패스하고 삼천포 실안으로 이동하고 말았다. 수양공원은 구) 사천읍성이다.3일간의 축제라고 파스군을 성문에 세워 놓았습니다.사천읍성 구경도 하고 수양공원 꽃무릇이나 구경 좀 해볼까요….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