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 죽림서원
전남 담양 배롱나무 숨은명소 담양 죽림재(죽림서원)
담양 죽림재(潭陽 竹林書院)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87년 1월 15일 전라남도의 기념물 제99호로 지정되어 있다.
창녕 조 씨 문중 사람들이 공부하던 곳으로 죽림재를 지은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죽림 조수문(1426∼?)이 세웠다고 전한다.

죽림재의 측면사진입니다.
현지 안내문
이 죽림재는 창녕조씨 문중의 글방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은 수련장(修鍊場)으로 죽림(竹林) 조수문(曺秀文)이 창건했다고 한다. 초창 건물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귀중한 책들과 함께 불에 타버렸고 인조 원년(1623)에 6대손인 삼청당 조부(三淸堂 曺溥)에 의해서 다시 세워졌으며, 현재의 건물은 1948년에 중수한 것이다. 이 건물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옆에서 볼 때 '八' 자 모양)이다.

취사당 건물은 많은 사람들이 공부할 수 있는 강학 공간입니다.
현재 그 건물의 현판은 죽림서원으로 명명되어 있습니다.

죽림재는 창원 조씨 문중의 강학 장소로 이용되었으나 후일 서원형태를 띄우고
후손들에 의해 그 원형이 현재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 그래서 당시에 죽림재가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죽림서당(竹林書堂), 죽림정사(竹林精舍) 등으로 변했으며 지금은 재각의 용도로 죽림재라고 부른다


강당 건물인 취사당에서 창문을 통해 내다 본 풍경입니다.

사당 죽림사
죽림사는 죽림선생과 선생의 아들인 운곡 조호(雲谷 曺浩), 삼청당 조부와 소은 정민하(簫隱 鄭敏河)의 행적을 추모하기 위해 1708년에 문인과 후손들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하며,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명령으로 철폐되었다가 2002년 복원되었다.

취사당 옆 서재에는 학생들이 공부하며 머무를 수 있는 숙소가 있고,
그곳에는 자미화(배롱나무꽃)가 있습니다.

창녕 조씨의 집성촌에 위치한 죽림재는 글방으로 건설되었으며,
서원으로 승격될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일반적인 서원과 달리, 사찰과 유사한 공간 배치를 가지고 있다.

마당 양쪽에 3칸씩 동.서재 형태로 기숙사 건물이 있다. 이곳에서 공부하던 학생들이 기숙하는 곳으로 실제로는 마을과 가까워 이 마을을 찾는 손님들이 머물 수 있는 공간으로 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취사루 옆에 있는 서재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머물던 곳입니다.

사당 건물인 세일제(歲一齋)
사당과는 달리 대청마루를 두고 있다. 내부에 영모당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고 한다.

충효정려각 (忠孝旌閭閣) 뒷 배경

죽림재 충효정려각 전경
충효각(忠孝閣) 조부의 효자정려각(曺簿 孝子旌閭閣) 1640년 건립

장서를 보관하던 장서각(藏書閣)

죽림재 입구의 반월형연당(半月型蓮塘) 이라는 연못
연못 둘레의 돌담과 배롱나무들이 아름다움 그 자체입니다.

죽림재 입구에 반월형연당(半月型蓮塘)이라는 연못이 높낮이의 단을 이뤄 곡선미를 살려 만들어
어느 곳에서도 보기 힘든 독특한 연못이다.
태극형 같기도해 그 무슨 다른 뜻이 내포하고 있는 것 같기도 했다.

촬영 마무리 하고 나오며 전체 풍광을 한번 더 담아 보고,
광주 2 순환도로를 타고 화순 만연산 기슭에 있는 만연사로 동선을 옮깁니다.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 일일캠프닉타운 (63) | 2024.08.11 |
---|---|
전남 화순 만연사 배롱나무 (75) | 2024.08.10 |
담양 명옥헌원림 배롱나무 (61) | 2024.08.08 |
전남 곡성세계장미축제장 탐방 02 (103) | 2024.05.25 |
전남 곡성세계장미축제장 탐방 01 (88) | 2024.05.2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순천 일일캠프닉타운
순천 일일캠프닉타운
2024.08.11전남 순천 일일캠프닉타운 배롱나무 반영 요즘 가장 핫한 사진이 아마도 순천 일일캠프닉타운 배롱나무가 아닐까 싶습니다. 고성에서 거리가 멀지만 AM 02:30 시에 출발해서 5시 10분전에 도착하였습니다. 이 시간에 우리가 제일 먼저 온 것이 아닐까 싶었는데 웬걸 우리차 앞에 차량 3대가 대기하고 있네요. 5시 30분이 지나서야 문을 열고 입장료를 받고 1인당 5천씩 받고 입장 시켜 줍니다.듣기로는 입장료가 1만원으로 들었는데 몇 년 전이나 똑 같이 받고 있네요.나중에 커피나 음료를 먹을 수 있으니 공짜나 다름없습니다. 시간이 지나니 많은 사진가들이 모여 들었고 모델을 섭외하지 않아도 사진가들이 대동해 온 모델들이 많아 미안스럽게도 그냥 찍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아직 산… -
전남 화순 만연사 배롱나무
전남 화순 만연사 배롱나무
2024.08.10전남 화순 만연사 아직 못다 핀 배롱나무꽃 만연사는 전남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산 기슭에 자리한 고려 희종 4년(1208년)에 만연 선사가 창건한 사찰리라고 합니다.이곳 부속 동림암에서 다산 정약용이 한때 머물렀으며,구한말에 이동백 국창과 명창들이 이곳에서 공부를 했다고 하네요.2.25 전쟁 때 모든 건물들이 없어진 것을 1978년 부터 4년에 걸쳐주지 철안이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합니다. 만연사의 경치는 배롱나무 꽃이 흐트러지게 피는 7월이 아름답고봄에는 철쭉꽃이 만개하는 만년사는 사찰의 고즈넉함과 싱그러운 풍경이 맞이해줍니다.또한 하얀 눈이 내리는 겨울에는 가지마다 쌓인 눈에 빨간 연등이 달린 배롱나무 풍경은사진가들에게는 최고의 핫 포인트로 자리매김한답니다. 만연사… -
담양 명옥헌원림 배롱나무
담양 명옥헌원림 배롱나무
2024.08.08안개 자욱한 명옥헌 원림 배롱나무와 아름다운 반영 6일 새벽 AM 04:00 고성 생태학습관에서 출발 남해안 고도 주암 IC 부근을 통과하자 때아닌 안개가 자욱하다. 안개는 도착지 명옥헌원림 도착할때 까지 걷히지를 않는다.계곡 산 중허리까지 안개에 덮혀있고 배롱이는 환하게 피어있으나 꽃의 색상이 화려하지를 못하다. 한여름 푹푹 찌는 더위를 뚫고 찾아간 곳은, 바로 진분홍 빨간 꽃이 흐트러지게 핀 배롱나무 정원이다.연못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의 둑방길을 따라 배롱나무가 줄지어 서 있고, 못 한가운데 있는 섬 안에도 배롱나무가 자리하고 있어 그야말로 배롱나무가 정원을 온통 뒤덮고 있다. 명옥헌원림은 담양 소쇄원(명승 40호)과 함께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민간정원이다. 명옥헌의 역사는 조선 시대 선비 오… -
전남 곡성세계장미축제장 탐방 02
전남 곡성세계장미축제장 탐방 02
2024.05.25전남 곡성 기차마을 곡성세계장미축제장 탐방 02 제14회 곡성 세계장미축제가 2024년 5월 17일부터 5월 26일까지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WE THE ROSE"로, 장미꽃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축제 기간 동안 밤 10시까지 섬진강 기차마을이 연장 운영되어 방문객들에게 밤의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섬진강 기차마을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면 장미 축제를 즐길 수 있습니다. 세계 명품 장미를 만나보세요 전남 곡성세계장미축제장 탐방 01전남 곡성 기차마을 곡성세계장미축제장 탐방 01 '24, 5, 20 (월) 전남 곡성 기차마을 '곡성세계장미축제장'을 찾아봤습니다.근간에 들어 최고 장거리 출사여행입니다.고성 본가에서 곡성 기차마cheongyeo.tis…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