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작성자: 청여(淸汝)
반응형

 

 

쌀밥나무라 부르는 이팝나무

 

 

이밥에 고기국을 먹고 비단 옷을 입으며

고래등 같은 기와집에 사는 것이 소원이던 시절이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이밥은 '이씨의 밥'이란 의미로 조선 왕조 시대에는 벼슬을 해야

비로소 이씨인 임금이 내리는 흰 쌀밥을 먹을 수 있다 하여 쌀밥을 '이밥'이라했다.

이팝나무는 이밥나무에서 유래 된 이름으로 생각된다.

꽃의 여러가지 특징이 이밥, 즉 쌀밥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팝나무는 키가 20~30미터에 자라고 , 지름도 몇 아름이나 되는 큰 나무이면서

5월에 파란잎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새하얀 꽃을 가지마다 소복소복 뒤집어 쓰는 보기 드문 나무이다.

가느다랗게 넷으로 갈라지는 꽃잎 하나하나는 마치 뜸이 잘든 밥알 같이 생겼고 

이들이 모여서 이루는 꽃 모양은 멀리서 보면 쌀밥을 수북이 담아 놓은 흰 사기 밥그릇을 연상케한다.

꽃이 필 무렵은 아직 보리는 피지 않고 지난해의 양식은 거의 떨어져 버린 '보리고개'이다.

주린 배를 잡고 농사일을 하면서도 풍요로운 가을을 손꼽아 기다릴 때다.

이팝나무 꽃은 헛것으로 라도 쌀밥으로 보일 정도로 너무 닮아 있다.

 

 

 

 

 

 

 

이름에 또다른 이야기는 꽃이 피는 시기가 데체로 음력 24절기 중 입하 전후이므로

입하 때 핀다는 의미로 '입하나무'라 불리다가 '이팝나무'로 변했다는 것이다.

실제 로 전북 일부 지방에서는 '입하목'으로도 불린다니 발은 상으로본다면 신빙성이 있는지도 모른다.

 

 

 

 

 

 

 

경남 밀양시 부북면 위양지 이팝나무이다.

짧게는 수백년, 길게는 수 천년 전의 우리 선조들이 자연스럽게 붙인 이름을

오늘날의 기준으로 어원을 찾아 내기란 애초부터 어려운 일이다.

둘 다 충분한 이유가 있으며, 더 더욱 쌀농사의 풍 흉과 관계가 있으니

나름대로 이해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경북 남부에서 부터 전북의 중간쯤을 선으로 연결한다면 이팝나무는 그 남쪽에 주로 자란다.

천년 기념물로 지졍 된 이팝나무만도 일곱 그루나 되어 소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향나무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은 나무다. 이외에도 시도 기념물과 보호수로 지전 된 이팝나무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그러나 지금은 온난화의 영향으로 서울 청계천 변에 심은 나무도 잘자란다.

 

 

 

 

 

 

 

 

경남 합천군 가회면 오도리 한골마을의 천년기념물 134호 

이팝나무가 하얀꽃을 피워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 잡고 있다.

이팝나무는 일본과 중국 일부에서도 자라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나무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나무를 본 서양인들은 쌀밥을 알지 못하니 

눈이 내린 나무로 보아 '눈꽃나무(Snow flower)라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