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학동 돌담길 능소화
돌담길 따라 마을 한 바퀴, 고성 학동마을 능소화
능소화가 피었다는 소식에 관내에 있는 고성 하일면 학동마을 옛돌담장에 능소화를 보려 달려 보았다.
온통 납작 납작한 돌투성이인 학동마을 옛담장. 그 속엔 전주최씨들이 하나의 마을을 일군 역사가 담겨져 있다.
능소화가 곱게 핀 돌담길을 걸으며 마을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본다.

학동마을의 명칭은 전주최씨 시조의 꿈속에 나타난 모습에서 비롯되었다. 꿈에 학이 마을 자리에서 알을 품고 있었고 이곳이야말로 최고의 명당이라 믿었다. 하여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라는 의미에서 학동(鶴洞)마을이 되었다.

학동마을은 다른 양반촌처럼 왕에게 하사받아 만들어진 마을이 아니다. 전주최씨 후손들이 스스로 개척하여 이룬 마을인 것이다. 척박한 황무지였던 학동리 일대는 마을사람들에 의해 지금처럼 아름다운 모습을 갖게 되었다.

학동마을 차라도 한잔할 수 있는 카폐 겸 갤러리 이다. 담장안에는 예쁘게 꾸며놓은 정원이 있다.
차한잔만 주문하면 정원 구경은 공짜이다.


지난해 까지만해도 관객들을 받아들이고 했는데 올해는 갤러리 간판도 없는걸 보니 폐쇠한 모양이다.


오늘은 하동마을 내력을 설명 소개하고자 온것이 아니고 아름답게 핀 능소화 촬영이 주 목적이다.
디소곳이 핀 궁중의 꽃 능소화 언제 부터인가 민중의 꽃으로 사랑 받아 오고 있다.

능소화를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능소화의 꽃말은 ‘여성금’‘명예’‘이름을 날림’‘구중궁궐의 꽃’이라고 하며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옛날에서는 능소화를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지에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가고 길이가 10m에 달한다. 잎은 마주 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7∼9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3∼6cm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

<전설 속의 능소화>
옛날에는 양반집에만 심는 귀한 꽃 요즈음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꽃 궁녀를 묻은 자리에서 피어난 이 꽃 귀를 활짝 열어 임이 오는 소리를 들으려는 듯 나팔처럼 활짝 피었다는 슬픈 전설의 꽃 구중궁궐의 꽃 능소화의 슬픈 전설이 꽃을 ‘구중궁궐의 꽃’이라 칭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옛날 옛날 복숭아 빛 같은 뺨에 자태가 고운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답니다.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이에 빈의 자리에 앉아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되었으나 어찌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 빈의 처소에 한 번도 찾아오지를 않았다고 합니다. 빈이 여우같은 심성을 가졌더라면 온갖 방법을 다하여 임금을 불러들였건만 아마 그녀는 그렇지 못했나 봅니다.

빈의 자리에 오른 여인네가 한 둘이 아니었기에 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 떠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 곳까지 기거하게 되었는데, 빈은 그런 음모를 모르는 채 마냥 임금이 찾아오기만을 기다렸습니다. 혹시나 임금이 자기 처소에 가까이 왔는데 돌아가지는 않았는가 싶어 담장을 서성이며 기다리고 발자국 소리라도 나지 않을까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을까 담장을 너머 너머 쳐다보며 안타까이 기다림의 세월이 흘러가고 있었답니다.

어느 여름날 기다림에 지친 불행한 여인은 상사병으로 세상을 뜨게 되었습니다. 권세를 누렸던 빈이었다면 초상도 거창했겠지만 잊혀진 구중궁궐의 한 여인은 초상조차도 치러지지 않은 채 담장가에 묻혀 '내일이라도 오실 임금님을 기다리겠노라’ 한 그녀의 유언을 시녀들은 그대로 시행했습니다. 더운 여름이 시작되고 온갖 새들이 꽃을 찾아 모여드는 때 빈의 처소 담장에는 조금이라도 더 멀리 밖을 보려고 높게 발자국 소리를 들으려고 꽃잎을 넓게 벌린 꽃이 피었으니 그것이 능소화입니다.

가지에 흡착 뿌리가 있어 덩굴로 크는 아름다운 꽃이지요. 아무튼 능소화는 세월이 흐를수록 더 많이 담장을 휘어 감고 밖으로 얼굴을 내미는데 그 꽃잎의 모습이 정말 귀를 활짝 열어 놓은 듯합니다. 한이 많은 탓일까요 아니면 한 명의 지아비 외에는 만지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였을까. 꽃모습에 반해 꽃을 따다 가지고 놀면 꽃의 충이 눈에 들어가 실명을 한다하여 학교 주변에는 심지 않으며 조심해야 합니다.

궁녀를 묻은 자리에서 피어난 이꽃
귀를 활짝 열어 님이 오는 소리를 들으려는 듯
나팔처럼 활짝 피었다는 슬픈 전설의 꽃
구중 궁궐의 꽃 능소화의 슬픈 전설
이 꽃을 ‘구중궁궐의 꽃’이라
칭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ㅡ 고성 학동 옛돌담길 ㅡ
카카오맵
당신을 좋은 곳으로 안내 할 지도
map.kakao.com
'동네 한바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네한바퀴] 황화코스모스 (41) | 2023.08.23 |
---|---|
경남 고성 상리연꽃공원 (67) | 2023.07.10 |
우리동네 벚꽃과 복사꽃 (57) | 2023.04.03 |
만추(晩秋)로 가는 가을단풍 (19) | 2022.11.14 |
경남 고성 남산공원 꽃무릇 (26) | 2022.09.1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동네한바퀴] 황화코스모스
[동네한바퀴] 황화코스모스
2023.08.23[동네 한 바퀴] 도로확장 자투리땅에서 만난 황화코스모스 군락 35번 고속도로 동고성 IC 나들목에서 빠져나와 집으로 오는 길에 나들목 확장 후 자투리땅에 심어놓은 황화코스모스이다. 주황색 군락의 코스모스가 탐스럽게 피어 있다. 그렇게 넓은 면적은 아니나 그런대로 담을 수 있어서 좋았다. 계속된 찌푸린 날씨에 폭염까지 이여 지니 아름다운 황화코스모스를 만났다는 그 자체가 반가울 따름이다. 가을의 문특인가 착각이기도 하고 가녀린 꽃대를 올려 바람결에 하늘거리는 모습의 아름다움이기도 하다. 초여름 우리나라 토종 코스모스가 지고 섭섭해질 즈음 또 다른 이름의 코스모스가 피어주니 늘 꽃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의 즐거움이다. 황화 코스모스의 꽃말은 " 소녀의 순결, 애… -
경남 고성 상리연꽃공원
경남 고성 상리연꽃공원
2023.07.10[경남 고성 가볼만한곳] 고성 상리연꽃공원·몸과 마음이 힐링되는 곳 경남 고성군 상리면 척번정리 문화마을 위쪽에 가면 아름다운 연꽃이 피는 상리연꽃공원이 있다.상리연꽃공원에는 연꽃과 수련이 아름답게 피는 그리 넓지는 않지만 고즈넉함을 느끼며 거닐 수 있는 연못이 있다. 무더운 여름으로 접어들면 단아한 연꽃들로 하나둘씩 피어나 연지를 핑크빛으로 물들이는 곳이다.중간에 놓인 돌다리를 건너며 보이는 풍경은 인생샷을 담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입니다. 지난 오월에는 수련이 화사하게 피어 온 연못을 곱게 물들었는데, 수련도 초봄 한꺼번에 피었다가 잠깐 잠복 기간을 거쳐 7월~8월이 되면 다시 온 연못에 연꽃과 수련이 함께 피어나 곱게 채울 것입니다. 연지 중앙의 정자는 지락정이라고 이름하였는데 이… -
우리동네 벚꽃과 복사꽃
우리동네 벚꽃과 복사꽃
2023.04.03우리동네 화사하게 핀 벚꽃은 이제 꽃비가 되어 내리기 시작입니다. 우리동네 벚꽃은 어떠한지 한바퀴 둘러 봤습니다. 다른 벚꽃 명소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화사하게 핀 벚꽃 터널도 있습니다 올해는 벚꽃이 개화한 기간동안 바람도 세게 불지않고 비도 내리지 않아 상당히 오랫동안 꽃이 유지한것 같습니다. 이제는 어쩔 수 없이 꽃비가 되어 떨어지겠지요. 우리동네 위 도로의 벚꽃터널입니다. 넓은 도로에 거의 다 덮혀 벚꽃 터널을 만들어 놓았으니 보기가 아름답습니다. 오늘 오후에 바람이 많이 불기에 꽃비가 내리는것을 담을 수 있을까 해서 갔는데 너무 세찬 바람이여서 담을 수가 없었습니다. 아침이나 오전에 담으면 가능할 듯 합니다 아래의 오른쪽이 우리동네 입니다. 마을 까지는 약1km 거리입니다. 고성읍이 가까워 주생활권… -
만추(晩秋)로 가는 가을단풍
만추(晩秋)로 가는 가을단풍
2022.11.14저물어 가는 가을 은행나무 단풍 가을은 남으로 남으로 내려 앉아우리동네 은행나무가 샛노랗게 물이 들었습니다.오랜 가을 가뭄에 지난 밤 내린 단비로 길거리의 은행나무가더욱 선명한 노랑색으로 물이 들었습니다.11월 13일 우리 동네 앞 율대공단 내 도로변에서 담았습니다. 입동이 지난 들녁엔 갈바람이 소슬하고 거리를 오가며바라보는 풍경 속에 어느덧 가을이 절정임을 실감케 합니다. 단풍 빛갈이 절정을 넘어서면 한줄기 바람에도낙엽이 우수수 흩날리는 만추에 접어 들었습니다. 오색단풍은 사람들의 마음을 들뜨게 하지만발끝에 딩구는 낙엽은 절로 사색에 빠져들게도 만든다. 노란 은행나무잎을 보고 있으니 잊혔던 옛 시절의 감성이 살아나는 듯 합니다. 깊어가는 가을을 만추(晩…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