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어음포 복수초
물고기 울음소리 들으며 피는 가덕도 어음포 복수초
입춘이 지난 2월 초순 아직도 추위가 머물고 있는데
물고기의 울음소리 들으며 복수초가 피어나기 시작한다.
부산시 강서구 가덕도동 대항(새 바지)에서 약 2km 지점
물고기의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어음포, 산계곡 중간,
전국에서도 제일 먼저 핀다는 어음포 복수초가 찬바람을 맞으며 피어난다.

따뜻한 남쪽지방이라 해도 해발 약 150미터나 되는 산기슭인데
찬바람에 피워낸 복수초, 땅 표면에 납작업드린 자세이다.
밤이 되면 지열을 이용해 꽃을 보호하고 은폐물을 이용 찬바람을 막고 있다
또 어떤 아이는 돌부리나 나무뿌리를 이용하는 개최도 있다.

어떤 아이는 포근한 풀잎 속에 이불처럼 덮고 있으며
또 어떤 아이는 나무뿌리 사이에서 방패막을 삼고 있다.
꽃 주위가 청소가 잘 되어 있는 것을 보니
누군가 사진을 찍고 간 흔적이 남아있다.

복수초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아시아가 원산지로 산지나 숲 속에 분포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아 수염뿌리처럼 보인다.
잎은 어긋나고 깃털처럼 갈라지며, 잎자루 밑에 녹색 턱잎이 있다.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며 지름은 3~4cm 정도이다.
뿌리나 줄기 등에 아도니톡신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 강심제 및 이뇨제로 사용된다.
북쪽지방에서는 눈 사이에 피어난 꽃을 볼 수 있어 눈색이 꽃이라고 도 부르며,
이른 봄에 노랗게 핀 꽃이 기쁨을 준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했다.

복수초는 종자가 발아하여 개화에 이르기까지 5-6년의 장기간을 요하므로
무분별한 남획에 의해 자생지에서 개체감소 현상이 심하므로
우리는 자연을 보호하는 임무를 다하여야 할 것입니다.

@ 가덕도 어음포 복수초

@ 가덕도 어음포 복수초

@ 가덕도 어음포 복수초

@ 가덕도 어음포 복수초

@ 가덕도 어음포 복수초

내일 모래부터 한파가 급습한다는데 핀 꽃들이 염려서렵네요.
납엽들을 긁어모아 덮어 놓긴 했는데 얼지는 않아야 할 것입니다.
어음포 계곡에서 새 바지까지 산비탈길을 되돌아 나오는 길도
엄청 멀고 힘든 길입니다.
지난 사진을 리뉴얼한 포스트입니다.
리뉴얼 포스팅은 기존의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거나 새롭게 재편성하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예전 블로그 포스트나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새로운 정보와 디자인으로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웃 님들에게 더 신선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SEO(검색 엔진 최적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원예화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축산 통도사 자장매와 분홍매. 만첩홍매 이미지 (27) | 2025.03.18 |
---|---|
창원 의림사 홍매화 (27) | 2025.03.15 |
야생화 산책 참나리 (48) | 2024.07.17 |
단정치 못한 연(蓮) (47) | 2024.07.08 |
거창 창포원 탐방 . 노란 꽃창포 01 (56) | 2024.05.13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영축산 통도사 자장매와 분홍매. 만첩홍매 이미지
영축산 통도사 자장매와 분홍매. 만첩홍매 이미지
2025.03.18얼마간 따스한 봄볕이 내리더니 갑작스럽게 또 꽃샘추위가 찾아와서눈도 비도 내리고 바람도 세차게 불어 겨울이 되돌아오는 것은 아닐까?오늘은 통도사 자장매와 만첩매에서 따온 이미지만 모아 올려 봅니다. @ 영축산 통도사 만첩홍매 @ 영축산 통도사 자장매 @ 영축산 통도사 만첩홍매 @ 영축산 통도사 만첩홍매 @ 영축산 통도사 만첩홍매 @ 영축산 통도사 만첩홍매 @ 영축산 통도사 분홍매화 @ 영축산 통도사 분홍매화 @ 영축산 통도사 자장매 @ 영축산 통도사 자장매 @ 영축산 통도사 자장매 @ 영축산 통도사 분홍매 @ 영축산 통도사 만첩홍매 @ 영축산 통도사 만첩홍매 @ 영축산 통도사 만첩홍매 … -
창원 의림사 홍매화
창원 의림사 홍매화
2025.03.15창원시 진북면에 자리한 의림사의 홍매화 만개 창원시 진북면 인곡리에 자리한 의림사에 홍매화가 만개했다.범종각 아래 노거수의 홍매화가 이쁜 꽃수술을 터트렸습니다조용한 사찰에 내려앉은 진분홍색 봄빛이 따사롭고온 경내에 그윽한 매화향기가 향기롭습니다. 의림사의 역사는 약 1300년 전인 통일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문왕 8년(688년)에 의상대사가 왜구의 출현을 불심으로 물리치겠다는 원력을 세우고 창건한 호국사찰이다. 그 기틀을 이어받아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승병을 이끌고 왜적과 대항하기도 했다. 애석하게도 승병의 집결지라는 이유로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고 관음전만 남아 명맥을 이어왔다. 그마저도 6.25 전쟁을 겪으면서 불타고 3층석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2호)과 석… -
야생화 산책 참나리
야생화 산책 참나리
2024.07.17순결한 마음 참나리 꽃으로 피어나리 참나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아름다운 야생화 중 하나입니다. 주황색 바탕에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있는 꽃으로, 7월에서 8월 사이에 피어납니다. 참나리는 햇빛을 좋아하고 추위에 강해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산책하면서 참나리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것은 정말 멋진 경험이 될 것입니다. 참나리의 꽃말은 "기개"로, 그 강인한 모습과 잘 어울립니다.산책 중에 참나리를 만나면 그 아름다움과 의미를 함께 느껴보세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이 되면, 산이나 들판을 가리지 않고 훌쩍 큰 줄기 끝에 호랑이 색과 무늬를 닮은 주황색의 꽃들이 탐스럽게 매달린 모습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참나리'라고 불리는 꽃입니다.참나리는 외떡잎식물로, 백… -
단정치 못한 연(蓮)
단정치 못한 연(蓮)
2024.07.08거센 비바람에 연꽃들이 바람을 맞았습니다.대개가 단정치 못한 천의 얼굴들을 가지고 있는 연들입니다.아름답고 도도하게 피어보지 못하고 꺾어지고 부러지고 그래도 만만하게 피어보려는연꽃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이 연의 얼굴은 그래도 반반한데 연 잎사귀 사이 바닥에서 웃음을 잃지 않고 있습니다. 순수하고 우아한 백련을 닮고 싶었지만….찌그러진 얼굴로 손님을 맞이해 보았습니다. 꿀벌이 날아 드는 걸 보니,아직도 내몸속에는 달콤한 꿀물이 흐르고 있나 봅니다. 진흙탕 위에 눌러 앉아도 이제염오인듯….더러운 물위에 피었지만 그 잎과 꽃이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다. 거센 비바람에 꽃잎의 일부가 떨어져 나갔지만 절반만 가지고 사랑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아직 비바람이 끝나지…
청여(淸汝)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